3초룰 |
---|
오펜스 팀의 플레이어는 상대방의 제한구역내(프리드로우 라인)에 3초 이상 머무는 경우 바이얼레이션을 범한다. |
5초룰 |
볼을 가진 플레이어는 5초 이내에 패스, 드리블, 슛 중 어느 것을 해야 한다. 이것은 드로인이나 프리 드로우일 때도 해당된다. |
8초룰 |
오펜스 팀은 백코드에서 볼을 갖고 나서 8초 이내에 프런트 코트로 볼을 던져야 한다. |
24초룰 |
볼을 갖고 있는 팀은 24초 이내에 슛을 던져야 한다. |
경기장(Playing Court) |
---|
경기장은 바닥이 단단한 평면으로 직사각형이어야 하며 장애물이 없어야 한다. 규격은 경계선 안으로부터 측정하여 길이 28m, 너비 15m이어야 한다. |
경계선 |
코트는 두 개의 엔드 라인 (코트의 짧은 부분) 과 두 개의 사이드라인 (코트의 긴 부분)으로 구분된 지역이며, 이 선들은 코트의 일부분이 아니다. 코트는 팀 벤치에 앉은 사람들을 포함하여 모든 장애물로부터 적어도 2m이상 떨어져 있어야 한다. |
가드(GUARD) |
리딩가드와 슛팅 가드로 나눈다. |
24초룰 |
볼을 갖고 있는 팀은 24초 이내에 슛을 던져야 한다. |
골(Goal) |
골이란 라이브 된 볼이 바스켓 위로부터 들어가 안에 머무르거나 또는 통과했을 때에 성공된 것으로 한다. |
노룩패스(No Look Pass) |
---|
패스를 보내는 상대방을 보지 않고 하는 패스이다. |
더블 드리블 (DOUBLE DRIBBLE) |
---|
드리블을 양손으로 동시에 하거나 한 번 드리블을 끝내고 다른 플레이어가 볼을 만지지 않은 사이에 다시 드리블을 하는 것. 바이얼레이션의 하나. |
더블 파울 (Double foul) |
더블 파울이란, 2명의 상대적인 선수가 거의 동시에 서로 파울을 범하는 것을 말한다. |
더블 페이크(DOUBLE FAKE) |
이중 속임수로 최초 오른쪽으로 빠지듯이 보이고 다음에 왼쪽으로 빠지듯이 보인 다음 최종적으로는 역시 오른쪽으로 빠져나가는 페인트이다. |
더블 포스트(DOUBLE POST) |
장신의 선수가 프리 드로우 레인상에서 2명이 서서 하는 공격. |
덩크슛(DUNKING SHOOT) |
볼을 림 위에서 직접 던져 넣는 슛 |
도징(Dodging) |
빠져나간다라는 의미. 발의 측면을 이용하여 진행 방향을 급격히 바꿔 디펜스를 벗어난다. |
드리블 스틸(DRIBBLE STEAL) |
과감하게 볼을 빼앗는 공격형 디펜스로 상대방이 드리블하고 있는 공을 뺏는다. |
드리블(DRIBBLE) |
농구에서 볼을 옮기는 모든 행위 |
디스퀄리파잉 파울(DISQUALFYING FOUL) |
스포츠맨 답지 않은 악질적인 파울을 말한다. 이것에 대한 벌칙으로 즉시 실격, 퇴장을 명한다. |
디펜스 (DEFENSE) |
수비쪽 플레이어의 총칭, 또는 수비 그 자체를 가리킨다. |
드로 인 (Throw-in) |
드로 인은 경계선 밖에서 드로인 하려는 선수가 코트 안으로 볼을 패스함으로써 이루어진다. |
드리블링 (Dribbling) |
드리블링이란 선수가 라이브된 볼을 플로어에 던지거나, 탭하거나, 굴리거나, 고의로 백보드에 던지는 컨트롤 행위를 말한다. |
러닝 드리블(RUNNING DRIBBLE) |
---|
달리면서 하는 드리블 |
렉드로우 드리블(LEG THROUGH DRIBBLE) |
앞뒤로 벌린 다리와 다리 사이로 볼을 드리블하여 방향 전환을 하는 기술 |
로우 포스트(LOW POST) |
리존 앤드라인 쪽으로 3초룰 (3초 이상 머무는 것)이 금지된 지역 |
로테이션(ROTATION) |
5명의 디펜스가 마크하는 오펜스를 차례로 바꾸면서 디펜스가 무너지는 것을 막는 것 |
록 스텝(LOCK STEP) |
디펜스를 완전히 저지하고 나서 패스를 받는다. |
롱 글라이드(LONG GLIDE) |
전속력으로 달리는 오펜스를 마크하는 스텝 |
루즈 볼(LOOSE BALL) |
코트 안에서 리더적인 역할을 완수하는 포지션 |
리바운드(REBOUND) |
골인되지 않고 링이나 백보드에 맞아서 튕겨 나온 슛 볼을 캐치 하는 것 |
릴리스 타이밍(RELEASE TIME) |
볼이 손을 벗어나는 시점 |
릴리스(RELEASE) |
패스나 슛을 할 때 볼을 보내는 동작 |
리허빌리테이션(REHABILITATION) |
부상당한 부위를 응급처치 |
마크(Mark) |
---|
디펜스 플레이어가 자신이 맡은 오펜스에 붙어서 수비하는 것, 디펜스 체크라고 한다. |
맨투맨 디펜스(Man to Man Defense) |
디펜스 5명 전원이 상대방 플레이어와 1대1 대응상태가 되어 디펜스하는 방법. |
미트(Meet) |
패스 캐치일 때 볼의 진행 방향에 맞추어 달려든다. |
바이얼레이션 (Violations) |
---|
바이얼레이션은 규칙을 위반하는 행위의 일종이다. |
바스텟 인터페이스(BASKET INTERFACE) |
슛 볼이 그물선의 정점에서 떨어져 링에 닿기까지, 도는 볼이 링 위에 실려 있을 때 디펜스가 볼이나 백보드에 닿은 경우, 슛이 성공한 것으로 하여 오펜스측의 득점으로 인정한다. 오펜스가 같은 플레이를 하는 경우에는 가장 가까운 사이드 라인에서 상대방 팀의 드로인이 된다. |
바운드 패스(BOUND PASS) |
수비의 발치에 공을 튀겨 통과시키는 테크닉 |
백 도어(BACK DOOR) |
볼을 갖고 있지 않은 2명의 플레이가 협력하여 스크린을 구사하여 2 대 1의 상황을 만들고 슛과 연결하는 플레이다. |
백 롤 턴 드리블(BACK BOUND PASS) |
턴하는 것처럼 하다가 멈추고 바운드 패스로 후방에 있는 우리편 에게 보내는 플레이. |
백 비하인드 드리블 (BACK BEHIND DRIBBLE) |
드리블하고 있는 볼을 몸 뒤쪽으로 통해서 반대쪽 손으로 바꾸는 기술 |
백 슛(BACK SHOOT) |
직접하는 것이 아니라 백보드에 한 번 볼을 맞히고 림에 넣는 슛 |
백 코트 (Backcourt) |
한 팀의 백 코트란, 자기 팀 바스켓 백보드의 앞면과 그 뒤의 엔드라인, 두개의 사이드라인의 안쪽과 센터라인의 안쪽까지를 말한다. |
백 턴 드리블(BACK TURN DRIBBLE) |
턴하여 뒤로 도는 순간에 볼을 컨트롤하고 있는 손을 좌우 또는 우 좌로 하는 방향 전환이다. |
백 턴(BACK TURN) |
마크해 오는 디펜스를 등지고 회전하여 디펜스를 속이는 방법 |
백 패스풀(BACK PASS FULL) |
오펜스가 한 번 프런트 코트로 볼을 가져온 경우 다시 백 코트로 볼을 되가지고 오면 바이얼레이션이 된다. |
베이스볼 패스(BASEBALL PASS) |
멀리 강한 볼을 보낼 수 있어 속공을 위하여 사용한다. 볼을 어깨 위에서 손목의 스넵을 살려 팔을 뻗는다. |
비하인드 더 백 패스(BEHIND THE BACK PASS) |
팔을 몸 뒤로 돌려서 손목의 스텝을 사용하여 패스 하는 기술 |
블로킹 (Blocking) |
블로킹이란 볼을 가졌든 안 가졌든 상대선수의 움직임을 저지시키는 부당한 신체접촉이다. |
사이드 스텝(SIDE STEP) |
---|
오펜스가 드리블로 짧은 거리를 이동했을 때에 디펜스가 한 쪽 발을 오펜스의 진행 방향으로 미끄러지듯이 슬라이드 시키면서 오펜스를 마크한다. |
싸움(Fighting) |
싸움이란, 상대적인 2명 또는 그 이상의 사람들이 신체적 충돌을 일으키는 것을 말한다. (선수, 교대 선수, 경기에서 물러난 선수들, 코치, 어시스턴트 코치, 그리고 팀 관계자들 등) |
선(Lines) |
흰색으로 너비 5cm로 선명하게 보이도록 그려야 한다. |
선수의 교체(Substitution) |
선수의 교체는 교대선수가 선수(Player)가 되고자 하는 요청에 따라 경기를 중단시키는 것이다. |
세이프티(SAFETY) |
수비진의 최후미에 위치하여 상대팀의 속공을 차단하는 사람 |
세컨드 가드(SECOND GUARD) |
모든 거리의 슛이 요구되며 속공에 필요한 강한 다리가 필요. 리드맨이 디펜스에게 마크 당하는 경우 리드맨을 대신한다. |
센터 서클(CENTER CIRCLE) |
농구 코트 중앙에 있는 원, 경기 개시는 여기에서 점프 볼로 시작한다. |
슛 블로킹(SHOOT BLOCKING) |
슛을 쏘는 선수의 볼을 쳐서 떨어뜨려 슛을 저지하는 플레이이다. 단 슛한 선수와 몸이 접촉하면 파울로 처리된다. |
스몰 포워드(SMALL FORWARD) |
포인터 게터이며 올라운드 플레이어르 구분한다. |
스위치(SWITCH) |
디펜스들이 접근하여 서로의 마크를 스크린 걸리기 직전에 바꾼다. |
스크린 아웃(SCREEN OUT) |
리바운드에서 상대방보다 먼저 볼을 빼앗기 위한 마크 방법 |
스탠스(STANCE) |
패스, 드리블, 슛을 하기위해서 중심을 낮게한 자세로 수비자세와 볼을 갖고 있는 선수자세가 각기 상황에 따라 스탠스를 달리 한다. |
스트라이드 스톱(STRIDE STOP) |
달리는 2보째의 발에서 스톱한다. |
스틸(STEAL) |
오펜스로 부터 볼을 빼앗는 플레이 |
슬라이드 스톱(SLIDE STOP) |
달려오는 가속력 으로 미끄러지며 멈춤 |
스리 포인트(3점) 슛(THREE POINT SHOOT) |
스리 포인트 라인의 바깥쪽에서 던진 슛을 가리킴. 한 번에 3점을 얻을 수 있지만 슛하는 양발이 스리 포인트 라인의 바깥쪽에 있어야 한다. |
스크린 (Screen) |
스크린이란 볼을 컨트롤하고 있지 않는 상대선수가 코트 안에서 원하는 곳으로 가려는 것을 못 가게 하거나 지연시키려고 할 때 일어난다. |
아웃 넘버(OUT NUMBER) |
---|
오펜스의 인원수가 디펜스의 인원수를 상회하는 수적 우위인 상태 3대 2나 2대 1 |
아웃 오브 바운드(OUT OF BOUND) |
플레이어가 경계선 (사이드 란인, 앤드 라인)이나 코트 밖의 바닥에 닿거나 볼이 경계선이나 코트밖의 사람이나 물건,. 백보드의 지지대와 접촉했을 경우에는 볼 드로인이 선언된다. |
어시스트 패스(ASSIST PASS) |
직접 득점과 연결되는 패스. 패스를 받아서 드리블 슛 한 경우도 어시스트 패스 된다. |
언더 핸드 레이업 슛(UNDER HAND LAYUP SHOOT) |
톱 스피드에서 볼을 손목의 스냅을 걸어 림에 살짝 올려 놓아 슛한다. |
언더 핸드 패스(UNDER HAND PASS) |
자신의 배후에 있는 우리 편에게 어깨 너머로 패스 보낼 때 사용 |
오버 더 숄더 패스 (OVER THE SHOULDER PASS) |
자신의 배후에 있는 우리 편에게 어깨 너머로 패스를 보낼 때에 사용 |
오버 헤드 패스(OVER HEAD PASS) |
공을 양손으로 잡고 머리위로 들어 올려 팔꿈치와 손목의 스냅을 이용하여 긴 패스를 한다. |
언 스포츠맨 라이크(UNSPORTSMAN LIKE) |
과거 인텐셔널 파울이라고 불리던 신체 접촉에 의한 고의적인 파울 |
오펜스(OFFENCE) |
공격 측 플레이어의 총칭, 또는 공격 그 자체를 가리키는 말 |
오피서(OFFICER) |
심판원 시합 중에 코트 안에는 주심과 부심 2명이 들어간다. |
원 핸드 세트 슛(ONE HAND SET SHOOT) |
모든 슛의 기본으로 팔을 머리 위쪽으로 뻗어 올려 하반신의 힘을 공에 실어 슛한다. |
원 핸드 스냅 패스(ONE HAND SNEP PASS) |
손목의 스냅만으로 볼을 내밀듯이 팔을 뻗어서 하는 패스 |
원 핸드 점프 슛(ONE HAND JUMP SHOOT) |
점프하여 가장 높은 곳에서 하는 슛 |
원 핸드 푸시 패스(ONE HAND PUSH PASS) |
몸을 그다지 움직이지 않고 팔만으로 하는 패스로 디펜스에게 움직임을 노출 당하지 않고 패스를 보낼 수 있다. |
인사이드 스크린(INSIDE SCREEN) |
디펜스에 대해서 팔을 가슴 앞에 엇갈리게 끼고 벽을 만듦으로 써 우리편의 오펜스를 노마크 상태로 하여 공격을 유리하게 전개시키는 플레이다. |
인사이드 턴(INSIDE TURN) |
상대방의 패스를 도중에 쳐서 우리편의 볼로 만드는 것 |
인터셉트(INTERCEPT) |
스크린이란 볼을 컨트롤하고 있지 않는 상대선수가 코트 안에서 원하는 곳으로 가려는 것을 못 가게 하거나 지연시키려고 할 때 일어난다. |
인텐셔널 파울(INTENTIONAL FOUL) |
고의로 범하는 퍼스널 파울, 언스포츠맨 라이크 파울과 같은 파울 |
점프 볼 (Jump ball definition) |
---|
점프 볼은 1피리어드의 개시에 있어서 센터 서클에서 상대적인 2명의 선수 사이로 심판이 볼을 토스 함으로서 시행된다. |
점프 스톱(JUMP STOP) |
패스를 받을 때 양 발을 동시에 멈추는 행동 |
존 디펜스(ZONE DEFENSE) |
디펜스가 골 부근에서 미리 수비할 범위를 정하여 골 수비한 디펜스 |
존 오펜스(ZONE OFFENCE) |
존 디펜스를 무너뜨리려고 빠른 패스로 존 안에서 컷 인을 시도하는 오펜스 |
차지 타임 아웃(CHARGE TIME OUT) |
---|
전반과 후반에 각각 2회 씩 가질 수 있는 1분 동안의 작전 타임 선수가 아닌 코치가 요청한다. 연장인 경우에는 전 후반에서 1회 씩 요청할 수 있다. |
차징(CHARGING) |
오펜스 플레이어가 디펜스 플레이어에 충돌하는 것. 퍼스널 파울 중의 하나 |
체스트 패스(CHEST PASS) |
패스의 기본으로 팔꿈치를 끌어 당기지 않고 공을 가슴에서 양손으로 밀어 내듯이 손목에 스냅을 주어 패스한다. |
체크(CHECK) |
오펜스의 드리블에 대응하여 허리를 낮추고 양손을 올려서 드리블을 멈추게 한다. |
캐칭(CATCHING) |
---|
볼을 받는 행위 |
컷 인(CUT IN) |
디펜스를 피하여 코트 밑으로 파고 들어가는 공격 법 중의 하나 |
콤비네이션 디펜스(COMBINATION DEFENSE) |
오펜스 측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맨투맨 디펜스를 병용하여 하는 디펜스 |
크로스 스텝(CROSS STEP) |
하반신은 보통 달리기 방법으로 상반신을 항상 오펜스로 향하는 스텝 |
클로즈 업 슛(CLOSE UP SHOOT) |
골에서 떨어진 장소에서 수비의 머리 너머로 던지는 런닝 슛 |
킥 볼(KICK BALL) |
바이얼레이션의 일종. 고의로 볼을 찬 경우에 한하여 상대방의 볼이 된다. |
타임아웃 (Time-Out) |
---|
타임아웃은 팀의 코치 또는 어시스턴트 코치의 요청에 따라 경기가 중단되는 것이다. |
터치 다운 패스(TOUCH DOWN PASS) |
직접 슛과 연결되는 어시스트 패스 |
테크니컬 파울(TECHNICAL FOUL) |
선수뿐만 아니라 팀 관계자가 스포츠맨쉽이나 페어플레이 정신에 어긋난 행동을 할 경우 부여되는 파울 |
트래블링(TRAVELING) |
코트에서 라이브된 볼을 가지고(hold) 이 조항에 정해진 제한을 벗어나, 어느 방향으로든지 한 발 또는 두 발 모두를 부당하게 움직이는 것을 말한다. |
트리핑(TRIPPING) |
상대방의 발을 걸어 진로를 방해하는 것. 퍼스널파울 중의 하나인데 심한 경우는 테크니컬파울이 된다. |
팀(Teams) |
대회의 주최 기구가 정한 규정에 의하여 한 팀을 위해 경기할 수 있는 자격을 가진 자를 말한다. 경기 주관자가 정하는 연령제한의 규정도 여기에 포함된다. |
팀 파울(TEAM FOUL) |
한 팀이 전 후반 각 하프 타임에 8개째부터의 파울 발생시 상대팀에게 1개의 프리드로우가 주어진다. |
탭 패스(TAB PASS) |
점프하면서 받은 볼을 그대로 착지하지 않고 공중에서 즉시 우리편 에게 보내는 리턴 패스 |
파울(Fouls) |
---|
파울이란 상대팀 선수와 부당한 신체적 접촉을 일으키거나, 스포츠 정신에 위배되는 행위를 포함하는 규칙 위반을 말한다. |
파워 포워드(POWER FORWARD) |
플레이어가 경계선 (사이드 란인, 앤드 라인)이나 코트 밖의 바닥에 닿거나 볼이 경계선이나 코트밖의 사람이나 물건, 백보드의 지지대와 접촉했을 경우에는 볼 드로인이 선언된다. |
파이트 오버(FIGHT OVER) |
상대의 스크린 플레이를 피하기 위한 기본기술 |
패스 컷(PASS CUT) |
팀 워크로 오펜스를 단단히 막아 조금씩 오펜스와의 틈을 메워서 패스를 가로채어 속공으로 돌변하는 공격적인 디펜스이다. |
퍼스널 파울(PERSONAL FOUL) |
상대방의 플레이어에게 몸으로 접촉하여 플레이를 방해하는 것 . 5회 이상 범한 플레이어는 퇴장시킨다. |
페인트(FEINT) |
상대방 플레이어 (주로 디펜스)를 속여서 피하기 위한 것 |
포메이션 오펜스(FORMATION OFFENCE) |
미리 팀 안에서 공격 방법을 결정하는 것 |
포메이션 플레이(FORMATION PLAY) |
그 팀이 정한 독자적인 약속 사항을 갖고 플레이 하는 것 |
포인트게터(POINT GETTER) |
득점을 많이 하는 선수 |
포스트 플레이(POST PLAY) |
키 큰 선수를 상대편 골 밑 근처에 배치해서 슛을 쏘게 하는 공격법 |
팔로우 드로우(FOLLOW THROUGH) |
팔을 충분히 뻗는다. |
푸싱(PUSHING) |
손이나 몸의 일부를 사용하여 상대방 플레이어를 밀어내는 퍼스널 파울 |
프레스 디펜스(PRESS DEFENSE) |
디펜스가 맨투맨 디펜스보다도 더욱 오펜스에 접근하여 패스나 드리블을 쉽게 하지 못하도록 하는 수비(어택 디펜스) |
프런트 체인지 드리블(FRONT CHANGE DRIBBLE) |
오른손에서 왼손, 또는 그 반대로 바꿈으로써 진행 방향을 순간적으로 바꾸는 것이 이 테크닉이다. |
프런트 코트(FRONT COURT) |
오펜스에서 보아 공격해 들어가는 쪽에 있는 코트 |
프리 드로우(FREE THROW) |
상대편의 파울로 상대방에게 방해받지 않고 프리드로우 라인상에서 던지는 1점 슛으로 파울을 범했을 때 주어지는 세트슛 이다. |
프리 오펜스(FREE OFFENCE) |
공격 측 5명의 선수가 개인의 판단으로 자유롭게 플레이를 선택하는 오펜스 |
프리 풋(FREE FOOT) |
피벗풋 과는 반대의 발. 바닥 위를 스치듯이 끌거나 뗄 수 있다. 2보째의 발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. |
플로어 밸런스(FLOOR BALANCE) |
오펜스 측 5명의 플레이어가 프런트 코트 안에서 너무 접근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공격할 수 있는 거리를 유지하는 것 |
피벗 맨(PIVOT MAN) |
포스트맨 이라고도 하며 가장 신장이 큰 선수가 담당한다. 상대편과의 접촉 플레이에서 기가 꺾이지 않고 슛을 쏘거나 리바운드를 잡는 공격의 핵심이 되는 센터이다. |
피벗 풋(PIVOT FOOT) |
축이 되는 발로 드리블을 하지 않고 발을 옮길 경우 워킹 파울로 인정된다. 볼을 가진 플레이어가 몸의 방향을 바꾸는 경우 축으로 삼는 발을 가리킴. 발의 일부가 바닥에 닿으면 상관없지만. 끌거나 뗀 경우엔 워킹이 된다. |
필드 드로우(FIELD THROW) |
프리 드로우 이외의 슛에 대한 총칭 |
하이 포스트(HIGH POST) |
---|
로우(LOW) 포스트의 반대로 프리 드로우 라인 부근 |
하킹(HACKING) |
상대 선수의 발을 누르거나 잡았을 때에 해당되는 퍼스널 파울 |
헤지테이션 스텝(HESITATION STEP) |
댄스에서 잠시 멈추듯이 일순간 동작을 멈추고 상대를 멈칫하게 만들고 나서 컷인 하는 스텝 |
핸즈 업(HAND UP) |
디펜스가 오펜스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해서 양손을 올리는 기본 기술 |
헬드 볼(HELD BALL) |
오펜스와 디펜스가 서로 볼을 껴안고 있어 그 소유를 판단할 수 없는 상태일 때, 이 때는 가장 가까운 서클 안에서 점프볼을 한다. |
헬프(HELP) |
우리편의 디펜스가 오펜스를 놓쳤을 때 그 디펜스를 도와 오펜스를 저지하는 것 |
홀딩(HOLDING) |
상대방 플레이어를 양손으로 누르는 퍼스널 파울 |
훅 슛(HOOK SHOOT) |
몸을 비틀면서 디펜스 위를 넘길 수 있도록 한 손으로 하는 슛 |
훅 패스(HOOK PASS) |
디펜스가 접근하고 있을 때 우리 편에게 패스하고 싶을 때 사용. 몸 전체와 손목은 갈고리처럼 구부려서 머리 위에서 반원을 그리듯이 던지는 패스 |